정적 리소스 - static
동적 리소스 - templates
정적 리소스는
@GetMapping("/index")
String hello(){
return "redirect:/index.html";
}
이런 형식으로 사용
동적 리소스는 thymeleaf 라이브러리 사용
동적 리소스이기 때문에 return "list.html"이 아닌 return "list"로
Model 로 변수 부여
html에서 th:text = "${DataName}"과 같은 형태로 변수 사용
package com.example.shop;//com 폴더 안에 example 폴더 안에 shop 폴더
//에디터가 자동으로 폴더 압축해줌
//다른 파일에도 이 클래스를 사용하고 싶으면 package 필수
import org.springframework.stereotype.Controller;
import org.springframework.ui.Model;
import org.springframework.web.bind.annotation.GetMapping;
@Controller//붙이면 api 다 사용 가능
public class ItemController {
//public 없으면 같은 패키지 안에서만 사용 가능
@GetMapping("/list")
String list(Model model){
model.addAttribute("DataName", "Data");
return "list";
}
//탬플릿엔진 쓰면 서버/DB의 데이터를 html에 넣을 수 있음
//Thymeleaf
}
'Project > 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JAX 사용 (0) | 2025.03.24 |
---|---|
상품 추가 기능/예외 처리/수정 기능 (0) | 2025.03.24 |
MySQL Database 호스팅 (0) | 2025.03.23 |
웹 서버와 웹 페이지 만들기(Controller) (0) | 2025.03.23 |
개발환경 셋팅/Spring Boot Project 생성 (0) | 2025.03.23 |